Skip to content

배상순 BAE Sang Sun


[작가노트]
이번전시 사진작품 시리즈 ‘샹들리에’
“실”은 지금까지 그녀의 조형 작품의 주요 주제이지만, “샹들리에”시리즈는 암흑 속에서 얽히고 설킨 온갖 색깔의 무수히 가는 실을 촬영한 사진 작품이다. 한국과 일본의 견사의 실타래를 일단 풀어 다시 얽히고 꼬이게 해 늘어뜨렸다. 그것은 전쟁이 일어나기 전에 대전에서 태어나고 성장 해, 패전후 귀환한 전후의 일본국내에서겪은 차별을 연상시킨다. 그것은 한반도 태생임을 말하지 못하고 살아온 사람들의 간단히 풀어낼 수 없는 기억의 뒤엉킴이다. 인터뷰에 응한 평균 연 령80세의 일본인들은 태어나고 자란 「고향」과 「일본 (사람) 」이라는 국가적인 틀 사이에서 70 년 끌 리고 찢겨오며 살아왔을 것이다. 또한 얽혀있는 “실 뭉치 ‘의 형형색색의 화려함을 보면, 대전이 라는 도시로 이주하고, 오가고, 떠나 간 수 많은 사람들의 삶의 궤적이 교차하는 모습이 떠오른 다. 그것은 뒤엉키고 휘감긴 복잡한 양국의 역사의 은유이면서, 대전이 철도 건설의 거점으로 만 들어진 도시인 것을 생각하면 제국주의의 욕망과 함께 확장되어가는 선로의 동맥류처럼 부풀어 오른 욕망의 모습으로 보이기도 한다. 개인의 기억과 국가적 욕망, 미크로 / 마크로의 다층적인 의 미와 은유가 겹치면서, 일의적으로 좁혀진 의미의 결정을 거부하는 곳에, “샹들리에”시리즈가 지닌 예술작품으로서의 매력의 가능성이 있다. – 다카시마 메구미 (비평중 일부분 발췌)

[Artist Note]
In this exhibition Bae presents her photographic series ‘Chandelier’
‘Thread’ has been a central motif to Bae’s creative work, and she now tackles the same subject in a photographic series depicting countless numbers of entangled, colorful threads of Korean and Japanese silk. These are symbolic of the complex memories of those who were raised in pre-war Daejeon, survived the war, witnessed defeat, then eventually returned to Japan only to face harsh discrimination because of their Korean backgrounds and forced to maintain low profiles. The average age of those interviewed by Bae was 80, and they spoke of the emotional difficulty of having to live with a dual identity for over 70 years, as ‘Japanese’ nationals with a string nostalgic attachment to their ‘Korean’ hometown. Looking at these colorfully entangled bundles of threads one imagines the countless, anonymous trajectories of the lives of those who came and went through Daejeon city. The images also present us with the complex history of both countries, and Daejeon’s historical role at the centre of an invasive transport network that eventually became entangled and bloated with imperial desire. Because of this micro/macro contrast between personal narratives and nationalist urges, Bae’s ‘Chandelier’ series unravels multiple layers of meaning and metaphor. In the ambiguity of the image and Bae’s refusal to commit to any single minded interpretation, we can also see art’s true creative potential.
Megumi Takashima (one part of arts critic)


성균관대학교 미술교육학과 서양화 졸업
무사시노미술대학교 대학원 회화 졸업
로얄 컬리지 오브 아트 교환 학생
교토시립예술대학교 대학원 박사 과정 수료

[개인전]
2020 <Chandelier>, Ashiya Schule 갤러리, 일본
2019 <Layers of Time>, Lee&Bae 갤러리, 부산
2019 <KG+ Selected>, 교토 그라피 패스티벌, 교토
2019 <Moon-Bow>, 갤러리 Jarfo, 교토
2017 <Repeat & Repeat Sfera Exhibition Kyoto – Moon-Bow>, Gallery Jarfo, 교토
2011 <고르디아스의 매듭>, Imura art 갤러리, 동경
2013 <부러진 매듭>, 갤러리담, 서울
2013 <선의 울림>, 우종미술관, 전남보성
2014 <Over & Over>, 이무라아트갤러리, 교토

[그룹전]
2021 <한일예술통신 ‘온도’ -왕복서한전>, 교토
2021 <소제, 도시를기억하다 –도시기억프로젝트>, 대전전통나래관, 대전
2021 <ECHO OHRANO’ Kyoto 2021>, 교토
2020 <‘KYOEN’ International Artists Inspired by Kyoto>, 교토
2019 <한일예술통신 ‘온도’>, 청주시립미술관 오창전시관, 청주
2019 <부산: 그때도있었고, 지금도있다.>, F1963 석천홀, 부산
2018 <Entwined Repeating>, Sfera Exhibition, 교토
2018 <‘CIRCLE’ Michael Whittel & Sangsun Bae>, 트리니티갤러리, 서울
2018 <‘Circle of Life’ 배상순 & 요코미조미유키>, 갤러리이배, 서울
2015 <지역리서치프로젝트>, 대전문화재단, 대전
2016 <지역리서치프로젝트>, 대전문화재단, 대전
2014-16 <DMZ 순례프로젝트>, 강원도
2013 <Gift Exhibition, Sfera>, 교토
2013 <‘분리되는선 – 연결되는선’ –Zuian-an>, 교토
2012 <Art across asia- Renewed Encounters, Asian Artists Exchange 2012->, Victoral Memorial Hall, 인도


[Education]
2008 PhD Candidate, Kyoto City University of the Arts, Kyoto, Japan
2003 The Royal College of Art (Scholarship), London, UK
2002 MA Fine Art, Musashino Art University, Tokyo, Japan
1997 BA (Ed), Sung Kyun Kwan University of Fine Art, Seoul, South Korea

[Selected Solo Exhibitions]
2020 ʻChandelierʼ, Galerie Ashiya Schule, Ashiya, Japan
2019 ʻLayers of timeʼ, Lee & Bae, Busan, South Korea
2019 ʻMoon-bowʼ, Kyotography KG+, Kyoto, Japan
2017 ʻRepeat & Repeatʼ Sfera Exhibition, Kyoto, Japan
2014 ʻOver& Overʼ Imura Art Gallery, Kyoto, Japan
2013 ‘Line’s Echo’, Ujong Museum of Art, South Korea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21 ‘Round-trip letter projectʼ Korea/Japan Art Communications PART 5,
@ The Terminal KYOTO
2021 ʻECHO OHRANOʼ Kyoto 2021
2020 ‘KYOEN’ International Artists Inspired by Kyoto, Kyoto
2019 ʻBusan : It exists now as it was thenʼ, Busan Cultural Foundation & F1963, Busan,
South Korea
2016 Daejeon research project A final show, Daejeon, South Korea DMZ project
exhibition, Gangwon-do, South Korea
2015 Daejeon research project A final show, Daejeon, South Korea DMZ project
exhibition, Gangwon-do, South Korea
2014 DMZ project exhibition, Gangwon-do, South Korea

배상순 Bae SangSun ( ベ サンスン)
http://www.sangsunbae.com/

Categories

작가 안내